본문 바로가기
영화/영화 이야기

설국열차 (2013)

by 수요일의별 2013. 8. 1.


설국열차 (2013)

Snowpiercer 
7.1
감독
봉준호
출연
크리스 에반스, 송강호, 에드 해리스, 존 허트, 틸다 스윈튼
정보
SF, 액션, 드라마 | 한국, 미국, 프랑스 | 126 분 | 2013-08-01
글쓴이 평점  

마지막 4중주를 보러 영화관에 갔는데, 망할 스크린 문학전인가 뭔가 때문에 마지막 4중주가 원래 있던 시간에 빅 픽처가 들어가 있었다. 마침 폭스파이어 라이브톡이 한 3시간 후에 있었는데, 시간이 부족해서 급한대로 설국열차를 봤다.

그렇게 보게된 설국열차는 참 아쉬움이 많이 드는 영화였다. 개인적으로 이런 영화는 걸작이 나오길 바라곤 한다. 누구도 뭐라 할 수 없을만큼 잘 만들어진 영화였다면 얼마나 좋았을까. 영화 자체에 열광할 순 없지만 이 영화를 선동영화라고 욕하는 사람들에게는 화가 난다.

그래도 직접적인 정치적인 메시지와 별개로 영화는 영화 자체로 흡인력이 있고 탄탄하게 흘러간다.

아쉬움이 많이 남았던 부분은 역시 캐릭터였다. 모두 전형적인 캐릭터이고 그 캐릭터들은 그냥 소비되는 것처럼 보인다. 교사를 연기한 알리슨 필이 그 짧은 등장시간에도 불구하고 돋보였던 것이 괜한 이유 때문이 아니다. 캐릭터들이 기차의 부품처럼 활용되고 소모되는 것이 감독의 의도였다면 어쩔 수 없지만. 그리고 봉준호 감독의 통제를 벗어난 듯한 위화감이 드는 부분이 몇몇 있었다. 게다가 외국어 대사를 번역한 자막이 가르치려드는 투여서 정말 맘에 들지 않았다. 외국어 대사는 평범한 뉘앙스인데 자막은 거의 분노에 가깝다. 커티스 '형'은 또 뭔지.

솔직히 탑승권 이벤트 어쩌구하고 개봉 몇 달 전부터 오글거리는 카피의 캐릭터 포스터 공개했을 때부터 기대를 접었어야했다. 이렇게 설레발쳐서 사람들 기대하게 만든게 이 영화가 일반 관객들에게 혹평받는 큰 이유라고 생각한다.

생각해 보면 볼수록 좋은 영화임에는 맞다. 관객들에게 아주 편하게 떠먹여 주는 영화이기도 하면서 깊게 팔수록 다양한 이야깃거리가 나오는 영화이기도 하다. 하지만 나는 이 영화에 열광할 수가 없었다. 이 영화는 무슨 부분에서 열광해야 하는 영화인가? 이렇게 흥미롭고 놀라운 설정과 세계관으로 어디서 열광해야할지 알 수 없는 영화는 드물 것 같다.

그레이 역의 루크 파스콸리노가 제법 비중이 돼서 깜짝 놀랐다. 원통 터널 달려갈 땐 왠 인도 무술인인가 했는데.